엠브레인 좌담회 꿀알바 후기_인사담당자 대상
'엠브레인'은 특정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포인트를 모으는 형태의 앱이다.
유행하던 앱테크 중의 한 형태도 10~20분 설문에 참여하고 500원, 1000원 소소하게 용돈을 모아가는 재미가 있다. (나에게는 그렇게 '맥주 광고'에 대한 선호도와 같은 주류 광고 관련 설문조사가 많이 오더라;;;;;)
최근에는 한 푼 두 푼에 비해 들어가는 시간이 너무 많은 듯하여 알람 메일만 걸어두고 잘 참여하지 않았다.
그런데 꽤나 흥미로운 '좌담회' 관련 참석자를 찾는 메일이 왔다.
'인사 담당자 대상 온라인 좌담회'에 참여할 패널을 구한 다는 것.
좌담회 소식 메일 알림
*주제는 '직장내 괴롭힘 방지 교육'과 더불어 '성희롱 예방'과 같은 법정 교육에 관한 교수님들의 연구에 실제 교육과 인사 업무를 주관하는 담당자들의 경험과 발생 사례에 대해 논의해 보며 의견을 들어 보는 것.
좌담회 사전 참석 절차
참석 비용도 무려 7만 원!
용돈도 용돈이지만, 나의 직무와 관련된 논의를 할 수 있고, 타사 인사 담당자들을 만나 타사 사례나 경험을 알아두는 것도 굉장히 도움이 될 것 같아 바로 신청하였다.
그렇게 신청하여 참석자로 선정이 되면, 담당자로부터 문자 or 전화가 오는데, 보낸 메일에 담당자 연락처는 입력해 두었다가 전화가 오면 꼭 받도록 하자. (요즘 하도 스팸이 많아서 모르는 번호는 잘 받지 않음으로;;;)
결론부터 말하자면, 역시 생각했던 대로 사례비를 떠나 신박한 경험이었고, 또 워낙에 HR 업무를 오래 하신 논의에 적합한 분들 몇만 소수로 선정되어 와서 그분들의 경험과 의견을 듣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 (말씀들도 논리적으로 어찌나 잘하시던지...^^)
좌담회 진행 과정 및 논의 내용(비대면 온라인)
참여자는 기업 인사 담당뿐 아니라 진행자가 1명, 그리고 연구진(교수진)들이 3명 정도 있었는데,
주로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도입과 그 교육의 진행, 그리고 MZ 세대와의 관계성에 대해 질문하였다.
또 어떤 식으로 교육이 좀 더 보완되면 좋은 지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
MZ 세대와의 조화 소통 측면에서도 '직장 내 괴롭힘 방지'의 개념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데는 모두 동감하였으며, 괴롭힘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실제 대처 방법, 피해자뿐 아니라 HR 담당자는 어떠한 역할을 해 주어야 하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인 가이드와 보완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참여 소감 및 사례비 입금
비대면이었지만 이렇게 논의하다 보니 금방 2시간이 지나갔다.
그리고 끝이 난 후에는 메일로 이 자료가 연구에 사용돼도 좋다는 동의서를 제출하는데,
그러면 익일(다음날) 내가 신청한 계좌로 바로 사례비가 입금된다.
오~! 설문조사는 포인트가 한참 쌓여야 현금 전환할 수 있는데, 좌담회는 익일 바로 입금되는 시스템이니!
그리고 시급 대비 사례비도 쏠쏠한 편이었다.
업무 유관자들과 토론과 논의도 해보고, 다양한 타사 사례도 배우고, 사례비도 쏠쏠히 챙길 수 있어서
내 지식과 경험도 up! 내 잔고도 동시에 up! 비대면이라 시간도 Save!
그러니 다음에도 이러한 좌담회가 있다면 꼭! 참여해볼 생각이다.
혹시라도 '엠브레인' 앱을 사용하고 있다면, 본인 직무 관련 정보를 잘 입력해 두고, 좌담회 관련 메일은 지나치지 마시길! 내 친구에게도 경험을 전해주었더니,,, 꼭 해보겠다고 하더라~^^
이상. 이날의 기록을 마친다.
'재테크 정보(블로그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수익이 늘어나는 순간의 터닝 포인트는 무엇일까? (14) | 2022.07.03 |
---|---|
1기 신도시 리모델링 공공컨설팅 결과(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1) | 2022.07.03 |
■자신의 노하우와 지식을 거래한다! [해피 캠퍼스]로! (2) | 2022.03.26 |
세입자 나가고 입주시 집주인 확인사항 (Ft. 집 매수 후 부동산에서 진행 가능?) (10) | 2022.02.14 |
전세퇴거용 대출 실행 2 (전세금은 세입자에vs은행에? 질권설정?) (3) | 2022.01.24 |
댓글